📓STUDY

📓STUDY/OS

[OS/운영체제/공룡책 붓츠부스] 1. 운영체제란?

공룡책 부수기 첫 단계에서는 운영체제의 개념과 앞으로 나올 용어들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운영체제란?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의 자원과 동작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 다음 3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하드웨어를 관리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 시스템의 동작 제어 computer system organization A modern computer system 현대의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CPU와 디바이스들이 bus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폰 노이만 아키텍처 (Von Neumann architecture) 현대 컴퓨터의 갓버지, 폰 노이만 program은 명령어의 집합이라고 정의 폰 노이만은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STUDY/알고리즘

Deque(데크)란 무엇일까 | 파이썬 자료구조 큐(Queue)

deque(데크)란?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데크는 스택과 큐를 합친 것과 같은, 양방향에서 데이터를 삽입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deque의 메소드 append() deque의 맨 뒤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함 appendleft() deque의 맨 앞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함 pop() deque의 맨 뒤 요소를 꺼내고 deque에서 삭제 popleft() deque의 맨 앞 요소를 꺼내고 deque에서 삭제 index(ele, start, end) start 인덱스부터 end 인덱스까지의 요소들 중 찾고자 하는 요소의 첫 번째 인덱스를 출력 insert(i, a) deque의 i 위치에 a를 삽입 remove() 원하는 요소 삭제 (첫번째로 등장하는 요소만 삭제된다..

📓STUDY/알고리즘

[ Python | 파이썬 ] 정렬 알고리즘 정리 및 코드

🌏 Sorting 정렬 정렬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렬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며 코딩테스트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보자! 👽 Bubble Sort 거품 정렬 정렬의 과정에서 데이터의 이동이 거품이 수면으로 올라오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버블 정렬이라 한다고 함! 서로 인접한 두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반복하는 알고리즘 def bubbleSort(): for i in range(len(arr)): for j in rnage(len(arr)-i): if arr[j] > arr[j+1]: arr[j], arr[j+1] = arr[j+1],..

📓STUDY/알고리즘

[python] Stack과 Queue

Stack과 Queue 💫 스택(Stack)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구조로 ㅡ 들어온 데이터를 가장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 먼저 출력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파이썬에서 스택을 이용할 때에는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필요 없이, 기본 리스트에서 append()와 pop() 메서드를 이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stack = [] # 데이터 삽입 (2) stack.append(2) #데이터 삭제 stack.pop() 💫 큐(Queue) 큐는 FIFO (First In, First Out) 구조로 ㅡ 들어온 데이터를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출력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파이썬으로 큐를 구현할 때는 collections 모듈에서 제공하는 deque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두_두
'📓STUDY'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